본문 바로가기

경제

Lists of kipid's blog #[#Lists-of-kipid-s-blog] Lists of kipid's blog Fuzzy search 구현해놓음 : Fuzzy search 버튼이나 G 키 (G for Go to anything) 를 누르면 검색창 뜹니다. ESC 나 오른쪽 위 'x' 를 누르면 검색창이 닫힙니다. Fuzzy (흐릿한, 뿌연) search 가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는 쓰시면서 확인해 보시길... (뭐 장황한 설명보단 사용해 보시면서 느끼고, 익히시는게 더 이해가 잘 될듯 합니다. 음.. 한글 초성검색 및 한영 자동변환 검색도 구현해놓음.) 블로그 글들 리스트를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제목뒤 날짜는 보통 처음 글을 올린 날짜입니다. (올려놓고 꾸준히 업데이트하는 글들이 많아서...) 공들여 작성한 글은 highligh.. 더보기
금융 종결자 (참고 책: 화폐전쟁) by rokiroki # 금융 종결자 (참고 책: 화폐전쟁) by rokiroki 예전에 재밌고 유익하게 봤던 자료인데, 오랜만에 검색하니 원글 출처 분은 블로그를 쉬시는거 같고, 금융 종결자를 한꺼번에 보고 싶어서 정리하는 글. 백업된 그림 파일을 가져온 곳은 여기 palewall (길가메시) at 네이버 블로그 :: 카테고리 - 금융종결자 // 그림 파일들 잘 정리해 놓으셨길래 여기서 긁어옴.. 각 소제목 옆의 Show/Hide 를 누르세요. 첫 화면에서는 데이터 아끼시라고 그림 파일을 숨겨놨습니다. (DocuK's delayed loading system.) ## PH 2023-02-16 : SEE posting. ## TOC ## 금융 종결자 1편 (로스차일드가문과 워털루투기) 다음장을 보려면 Section 제목 오른.. 더보기
공정한 경제란 무엇일까? - 1. 두 명만으로 구성된 사회에서의 경제성장 # 공정한 경제란 무엇일까? - 1. 두 명만으로 구성된 사회에서의 경제성장 경제란게 무엇일까? 경제성장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경제성장 = 발전??? 종이에 숫자 써놓은것 = 돈????? 이런 의문점이 쌓이면서... 돈이란 놈이 가끔 이상하게 쓰이는 모습을 이상하게 생각하면서... 돈이란게 대체 무엇인지, 경제성장이란건 도대체 무엇인지 조금 고민해보기 시작했다. 경제성장의 척도로 요새 자주 쓰이는 GDP란 놈을 분석해 보면서 이상한 딴지들이 들어오길래 더 깊이 생각해보느라고 그런것도 있다. 난 나름 제대로 분석했다고 생각하는데, 몇몇의 사람들은 왜 틀리다고 할까? 원화(대한민국 화폐: 원 WON)로 GDP를 보는 것과 미화(미국 화폐: 달러 USD)로 GDP를 보는 것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돈은 .. 더보기
당신은 상위 몇 % 입니까? (고위직 재산 통계 2011-2014) i소속직위성명재산 1대통령이명박5,496,598 2국무총리김황식1,121,166 3대통령실대통령실장임태희2,630,465 4대통령실정책실장백용호3,488,640 5대통령실정무수석비서관정진석4,531,510 6대통령실민정수석비서관권재진2,562,799 7대통령실사회통합수석비서관박인주435,396 8대통령실외교안보수석비서관천영우1,389,170 9대통령실(현 지식경제부)경제수석비서관(장관)최중경2,949,287 10대통령실고용복지수석비서관진영곤2,184,367 11대통령실교육문화수석비서관진동섭570,991 12대통령실홍보수석비서관홍상표1,036,364 13대통령실총무기획관김백준2,288,419 14대통령실기획관리실장김두우2,151,357 15대통령실정책기획관이동우1,111,487 16대통령실미래전략기획관유명.. 더보기
협동의 진화 (Evolution of Cooperation) # 협동의 진화 (Evolution of Cooperation) 이전에 "공정한 경제란 무엇일까?" 에 대해 고민하면서... "경제란게 무엇일까? 경제성장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경제성장 = 발전??? 종이에 숫자 써놓은것 = 돈????? 종이에 써짓 숫자의 양만 커졌다고 경제성장인거야?" 뭐 이런 궁금증 이후, 그렇다면 "2명만으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경제란게 무엇일까? 이게 가능한가? 엄밀한 의미에서 경제성장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란 질문으로 넘어갔었다. 그 자세한 이야기는 에서 확인하시고... 우선 돈에 관련된 것보다도 일반적인 우리 삶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남들과 살아야 본인도 좀 괜찮은 삶을 사는거고 사회도 꽤나 괜찮아지는걸지. 어떤 문명이 망하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게 될지 좀 고민을 해보자.. 더보기
부채주도 성장에서 소득주도 성장으로 # 부채주도 성장에서 소득주도 성장으로 개인적으로 여기서 주장하는 모든 것들에 동의하는건 아니지만 읽어보고 깊이 생각해볼만한거 같아서 퍼옴 . (링크만 걸수도 있는데, HTML 폼이 약간 맘에 안들어서 재편집.) 나중에 시간되면 개인적인 의견도 더 적어보려고 생각중. 개인적으론 배타적으로 무언가를 점유하는데 대한 사용료 (재산세?) 와 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중에 비슷한 정도의 서비스를 자신에게 달라고 받은 증서 (돈) 를 빠르게 (20년 정도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그 가치를 조금씩 깍아버리는 식의 제도를 통해... (은행 이자율은 항상 낮아야 함. 대출 이자는 탄력적일수는 있는데, 상환 능력 제대로 파악 못하고 대출 준 건들은 은행이 책임져야.. 상속세?가 있긴 하지만, 경제사이클보다 인류 수명이.. 더보기
부동산 정책, 가격 어디로 가고 있을까? # 부동산 정책, 가격 어디로 가고 있을까? 우선 우리나라 인구밀도는 꽤나 높음 . 자율시장경제에서 가격은 보통 그 구성원들 수준에 따라 정해지기 마련이긴한데...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욕심싸움에 의해 적정가가 정해지겄지? "파는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절대 싸게 안팔려고 하고 + 사는 사람들이 어쩔수 없이 비싸도 사면" 안내려 가겠고, "사는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절대 비싸게 안사려고 하고 + 파는 사람들 일부가 돈이 급히 필요해서 싸게 팔기 시작하면" 내려 가겠고... 국가의 세금 정책 (특히 종합 부동산세 같은거) 에 의해서도 꽤나 조정이 되긴 함. 영향을 많이 끼치고. 양도세, 전월세 상한제 등등 정부가 부동산에 개입할 수 있는 범위가 꽤나 넓기도 하고... 지금 정부는 "공정한" 부동산 거래에 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