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중급 서술형 평가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을 설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서술, 프로미스(Promise)의 3가지 상태에 대해 설명)
# JavaScript 중급 서술형 평가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을 설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서술, 프로미스(Promise)의 3가지 상태에 대해 설명)## PH2024-08-31 : First posting.## TOC##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는 실행 컨텍스트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며, 현재 실행중인 함수 또는 메소드의 "소유자"를 가리킵니다.전역 실행 컨텍스트에서 this 는 전역 객체 (브라우저에서는 window, Node.js 에서는 global..
더보기
Regular Expression (정규 표현식), and match/replace method in JavaScript, JAVA, and Python
# Regular Expression (정규 표현식), and match/replace method in JavaScript, JAVA, and Python정규 표현식 테스트. replace, match, split 등에 쓰임. 꽤나 유용.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때에도 필수적으로 쓰일듯한. JavaScript 말고도 대부분의 언어 (Java, C, C++, LabVIEW, PHP, Perl 등등등) 에서 이런게 다들 비슷하게 구현되어 있음.그런데 비슷하긴한데, 다들 조금씩은 달라서 헷갈리는게 많긴 한듯. 특히 JAVA, Python 이... JavaScript 가 제일 깔끔한듯한 느낌적인 느낌.## PH2024-02-24 : Python 추가.2024-01-07 : Small edit.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