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logPrint() is working!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0;
m.wait=1024;
wait 1507ms.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0;
m.wait=1024;
wait 1507ms.







Mode: Bright; Font: Noto Sans KR; font-size: 18.0px (10.0); line-height: 1.6;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2.12.18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200
document.referrer: Empty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2.12.18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200
document.referrer: Empty







문재인 2012 대통령 출마 선언: 불비불명(不飛不鳴)
2015-12-23 : 본인이 부족해서 대선에서 져놓고도 요새 국정운영을 본인 맘대로 다 하려고 하시는 분. 대다나다. 졌으면 진만큼 power 를 내려놓으시길. 이긴 사람이 마음대로 하는 구석이 더 많아야지. 그 책임은 ㅂㄱㅎ 대통령과 그 사람을 뽑으신 분들이 어느정도 나눠 지는거고. ㅇㅈ? ㅇㅇㅈ.
역시 너무 착하기만 한 사람들은 너무 착해 빠져서 세상을 못바꾸고 자살 ㄱ 싱~ 이 주된 시나리오여. ㅇㅈ? ㅇㅇㅈ. ㅋㅋㅋ 좀 본인이 잘못을 저지르면서라도 세상을 바꿀 생각을 해야지. 어려운 사람을 돕는것보다도 지들 고귀함이 언제나 앞서 있는듯. ㅇㅈ? ㅇㅇㅈ. 수고해라. 지던 말던 이젠 신경 덜씀. 난 내식대로 바꿀란다.
원리 원칙 참들 좋아해.
불비불명(不飛不鳴)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일을 하기 위해 조용히 때를 기다린다는 말이다.
제(齊)나라 위왕(威王)은 날마다 음주 가무만 즐기며 정사는 중신들에게 맡겼다. 그 때문에 정사는 문란해졌고, 신하들 간에 질서도 잡히지 않았다. 그러나 누구도 함부로 나서서 위왕에게 간언하지 못하였다. 이때 순우 곤이 위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不飛不鳴) 새가 무슨 새인지 물었다. 위왕이 한번 날면 하늘에 오르며, 한번 울면 사람을 놀라게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순우 곤의 의도를 알아챈 위왕은 비로소 정사를 정상적으로 돌보았다고 한다.
Table of Contents
T1.문재인 2012 대선 출마 선언문
▼ Show/Hide
‘불비불명(不飛不鳴)’이라는 고사가 있습니다. 남쪽 언덕 나뭇가지에 앉아,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는 새. 그러나 그 새는 한번 날면 하늘 끝까지 날고, 한번 울면 천지를 뒤흔듭니다.
그 동안 정치와 거리를 둬 왔습니다. 그러나 암울한 시대가 저를 정치로 불러냈습니다. 더 이상 남쪽 나뭇가지에 머무를 수 없었습니다. 이제 저는 국민과 함께 높이 날고 크게 울겠습니다.
오늘 저는 제18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국민 앞에 엄숙히 선언합니다.
‘우리나라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01]
Ref. [01] http://www.moonjaein.com/
T1.4.출마 선언 수퍼 디데이 : 6월 17일 대통령 출마 선언 당일 자택에서부터 선언현장까지의 풍경
'수퍼 디데이' 문재인 의원 6월 17일 대통령 출마 선언 당일 자택에서부터 선언현장까지의 풍경을 영상에 담았습니다.
▲ Hide
T2.Personal Comment
▼ Show/Hide
// 개인적 평점 100점 만점에 99점.(발음이 아직도 약간;;; 목소리는 좋으시네요.) 책 '문재인의 운명' 읽고 있는데... 천천히 읽어야지ㅋㅋㅋㅋ. 아 책읽기는 힘들다;;; (결국은 첫 몇 페이지만 끄적이다가 못읽음.)
▲ Hide







반응형
'[사회-정치-경제]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위공직자 및 국회의원 정기 재산 신고 사항 (2011~2015) (0) | 2023.05.30 |
---|---|
박영선(朴映宣) vs 오세훈(吳世勳) vs 안철수(安哲秀) 프로필 비교 (1) | 2021.03.16 |
[지식채널e] 프로파간다 - 선전, 선동, 거짓말, 진실, 그 사소함들... (1) | 2019.03.30 |
민주주의 사회에서 애국심이란 무엇인가? (0) | 2019.03.06 |
[김어준의 Papa is #1] 어준의 귀환! "닭을 열심히 튀기겠습니다" (0) | 2019.03.06 |
2012~2013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국정원, NIS) 여론 조작 사건 (0) | 2019.03.04 |
노회찬(魯會燦) vs 나경원(羅卿瑗) 프로필 비교 (0) | 2019.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