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logPrint() is working!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512;
m.wait=1024;
wait 967ms.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512;
m.wait=1024;
wait 967ms.







Mode: Bright; Font: Noto Sans KR; font-size: 18.0px (10.0); line-height: 1.6;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2.12.18
Canonical URI: https://kipid.tistory.com/entry/GDP-of-Korea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216
document.referrer: Empty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2.12.18
Canonical URI: https://kipid.tistory.com/entry/GDP-of-Korea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216
document.referrer: Empty







GDP of Korea
Table of Contents
TRefs.References and Related Articles
▼ Show/Hide
- Ref. [01] News Peppermint - 경제지표의 탄생, 2014-03-06, by ingppoo; 원문: NPR Planet Money - The Invention Of 'The Economy', 2014-02-28, by Jacob Goldstein;
"이런 개념들이 처음 등장한 건 1929년 대공황을 거친 이후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시절입니다. 길거리에는 실업자들이 넘쳐나고 시중의 돈이 메말라버린 게 자명한 데도 이런 현상을 설명할 만한 숫자가 없었습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처음으로 (미국에서)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을 수치화해 발표했고, GDP라는 개념은 이내 한 나라의 성패를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하지만 GDP를 비롯한 경제지표 속의 숫자들이 설명하지 못하는 것들이 적지 않고, 세계적인 흥행을 일으켰던 경제지표는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고 바비 케네디(Robert Kennedy) 전 상원의원은 GNP가 미국인의 삶의 질에 대해서는 설명력이 전혀 없다고 지적한 적이 있습니다. GNP를 봐서는 국민들의 건강이나 공공의 신뢰를 비롯한 사회적 자본에 대해 알 길이 없다는 거죠. 아마도 GDP나 GNP를 보완할 만한 수많은 지표들이 쏟아져나온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한 나라 경제의 기본적인 수준을 파악하는 데 있어 GDP나 GNP는 훌륭한 지표라고 말합니다." - Ref. [02] News Peppermint - (빌 게이츠 기고문) 극빈국 GDP 계산방식의 문제점, 2013-05-30, by heesangju; 원문: Project syndicate - The Problem with Poor Countries’ GDP, 2013-05-06, by Bill Gates;
"GDP를 정확히 측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제르벤 교수가 주장하듯 세계은행 등 국제기관과 기부자들은 아프리카 통계청에 좀더 정확한 데이터를 요구하고, 필요할 경우 투자 지원도 해야합니다. 현실을 정확히 파악해야만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곳에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죠." - Ref. [03]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 Data and Statistics and therein: -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14-04-08
- Ref. [04] UN stats - National Accounts Main Aggregates Database, Latest Data Upload: 2013-12
- Ref. [05] 남한의 국내 총 생산량 (GDP) 변화: 세계 각국과의 비교 (~2009), 2024-02-08
- Ref. [06] 남한 | 대한민국의 국내 총 생산량(GDP) 변화: 세계 각국과의 비교 (~2011), 2024-02-08
▲ Hide







반응형
'[사회-정치-경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한 경제란 무엇일까? - 2. 악마의 등장 : 이자 (interest) 개념. (0) | 2024.08.06 |
---|---|
공정한 경제란 무엇일까? - 1. 두 명만으로 구성된 사회에서의 경제성장 (3) | 2024.08.06 |
시대공감 - 청년 빈곤. 그들과 통하는 길. (0) | 2024.02.09 |
남한 | 대한민국의 국내 총 생산량 (GDP) 변화: 세계 각국과의 비교 (~2011) (0) | 2024.02.08 |
남한의 국내 총 생산량 (GDP) 변화: 세계 각국과의 비교 (~2009) (2) | 2024.02.08 |
왜 부자가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하는가? (1) | 2024.02.08 |
부채주도 성장에서 소득주도 성장으로 (1)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