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 Everything you wanna value. 자세히보기

코드잇 풀스택 2기 18

12월 09일 2기 위클리 페이퍼 - TypeScript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d.ts 타입 정의파일이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설명하세요.

# 12월 09일 2기 위클리 페이퍼 - TypeScript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d.ts 타입 정의파일이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설명하세요.## PH2024-12-10## TOC## TypeScript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TypeScript는 JavaScript의 슈퍼셋으로, JavaScript에 정적 타입을 추가한 언어입니다. 동작 원리를 이해하려면 다음 핵심 개념들을 알아야 합니다:1. 타입 시스템: TypeScript는 변수, 함수 매개변수, 반환 값 등에서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게 합니다. 이로 인해 코드를 작성하는 도중에 타입 오류를 발견할 수 있으며, 더 나은 코드 품질과 유지 보수성을 제공합니다.```[.lang-ts]let myString:..

[IT|Programming] 2024.12.10

코드잇 풀스택 2기 - Part 3 - 중급프로젝트 - Docthru

# 코드잇 풀스택 2기 - Part 3 - 중급프로젝트 - Docthru개인 개발 리포트: 이강수 (kipid)## PH2024-12-06 : First posting.## TOC## npm install 에러시```npm install --legacy-peer-deps```/## font-size: var(--XXpx) 적극 활용## color, background-color: var(--prime-yellow/red/blue/orange) or var(--brand-black/white) or var(--gray-0 ~ 900) 적극 활용##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todos'] })캐싱 (Caching) 을 무효화 할 때 쓰는 명령어.## de..

[IT|Programming] 2024.12.06

Git 을 배워보자. (Feat. GitHub)

# Git 을 배워보자. (Feat. GitHub)버전 관리와 협업에 필수인 Git (and GitHub) 에 대해 배워봅시다. ## PH2024-07-30 : First posting.## TOC## Git 설치 및 간단한 명령어들Git 은 (Global Information Tracker) 의 약자로 대충 보면 된다. (처음 이름 지은 사람은 이런 의도를 가진 약자가 아니었던 같긴 한데... 저 표현이 Git 을 잘 나타내준다고 본다.)우선 설치: 에서 다운 받고 대충 설치.```[.scrollable]SET BASEDIR=%CD%set GIT_EDITOR=vimset VISUAL=vimset EDITOR=%VISUAL%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git con..

[IT|Programming] 2024.10.10

week6 위클리 페이퍼 (웹 페이지 렌더링 방식 CSR, SSR, SSG 각각의 특징과 각 방식을 어떤 상황에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

# week6 위클리 페이퍼 (웹 페이지 렌더링 방식 CSR, SSR, SSG 각각의 특징과 각 방식을 어떤 상황에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 PH2024-09-03 : First posting.## TOC## 웹 페이지 렌더링 방식 CSR, SSR, SSG 각각의 특징과 각 방식을 어떤 상황에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웹 페이지 렌더링 방식에는 CSR (Client-Side Rendering), SSR (Server-Side Rendering), SSG (Static Site Generation) 세 가지가 있습니다. 각 방식의 특징과 사용 상황을 설명드릴게요.### Client-Side Rendering (CSR)특징:브라우저에서 렌더링: 모든 JavaScript 파일을 클라이언트(브라우저)로 전송하고, ..

week5 위클리 페이퍼 (useMemo, useCallback 에 대해 설명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지, 남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 리액트 생명주기 (life cycle) 에 대해 설명, React 에서 배열을 렌더링할 때 key 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와 key 설정 시 주의할 점을 설명)

# week5 위클리 페이퍼 (useMemo, useCallback 에 대해 설명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지, 남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 리액트 생명주기 (life cycle) 에 대해 설명, React 에서 배열을 렌더링할 때 key 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와 key 설정 시 주의할 점을 설명)## PH2024-09-02 : First posting.## TOC## useMemo, useCallback 에 대해 설명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지, 남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useMemo 와 useCallback 는 React 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훅입니다. 각각의 역할과 사용법, 그리고 남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드릴게요.### useM..

JavaScript 중급 서술형 평가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을 설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서술, 프로미스(Promise)의 3가지 상태에 대해 설명)

# JavaScript 중급 서술형 평가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을 설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서술, 프로미스(Promise)의 3가지 상태에 대해 설명)## PH2024-08-31 : First posting.## TOC##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는 실행 컨텍스트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며, 현재 실행중인 함수 또는 메소드의 "소유자"를 가리킵니다.전역 실행 컨텍스트에서 this 는 전역 객체 (브라우저에서는 window, Node.js 에서는 global..

week4 위클리 페이퍼 (리액트가 렌더링 하는 방식을 설명, 리액트에서 Virtual DOM이 무엇인지,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 React 에서 컴포넌트란 무엇이며,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 컴포넌트의 차이점을 설명)

# week4 위클리 페이퍼 (리액트가 렌더링 하는 방식을 설명, 리액트에서 Virtual DOM이 무엇인지,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 React 에서 컴포넌트란 무엇이며,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 컴포넌트의 차이점을 설명)## PH2024-08-20 : First posting.## TOC## 리액트가 렌더링 하는 방식을 설명리액트의 렌더링 방식은 컴포넌트 기반의 UI 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렌더링 단계: 초기 렌더링: 리액트는 컴포넌트 트리의 루트에서 시작하여 모든 자식 컴포넌트를 순차적으로 렌더링합니다. 이 과정에서 JSX 문법으로 작성된 코드를 React.createElement() 호출로 변환하여 React 엘리먼트를 ..

week3 위클리 페이퍼 (var, let, const 를 서로 비교 //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 week3 위클리 페이퍼 (var, let, const 를 서로 비교 //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 키워드의 사용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설명)## PH2024-08-12 : First posting.## TOC## var, let, const 를 서로 비교var 는 예전에 쓰던 변수 선언 방식으로 hoisting, 중복 선언 가능, function scope 만 지원 등 프로그래밍을 할 때 안좋은 점, 헷갈리게 하는 점이 너무 많아 요새는 안쓰는 추세로 가고 있다.let 은 변하는 값을 담는 변수를 선언하는 방식으로 primitive 변수나 JSON 등에 두루 쓸 수 있고, const 는 한번 할당되면 변하지 않는 변수 선언으로..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6

#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6스케쥴표: Obsidian.md: ## PH2024-08-20 : First posting.## TOC## RRA[FS 2기] 커리큘럼 시트 (수강생용)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6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7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8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9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5

#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5스케쥴표: Obsidian.md: ## PH2024-08-19 : First posting.## TOC## RRA[FS 2기] 커리큘럼 시트 (수강생용)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19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0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1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2024-08-22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4

#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4스케쥴표: Obsidian.md: ## PH2024-08-05 : First posting.## TOC## RRA[FS 2기] 커리큘럼 시트 (수강생용)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12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13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14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15 https://publis..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3

# 코드잇 풀스택 2기 - Week 3스케쥴표: Obsidian.md: ## PH2024-08-05 : First posting.## TOC## Git 을 배워보자. (Feat. GitHub)참조: ## Git 협업하기 (Collaboration with Git and GitHub)참조: ## RRA[FS 2기] 커리큘럼 시트 (수강생용)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05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024-08-06 https://publish.obsidian.md/iasandcb/site/Part+1/2..

[IT|Programming] 2024.08.20

코드잇 풀스택 2기 Week 3 - 서술형 평가 (Git and GitHub Collaboration)

# 코드잇 풀스택 2기 Week 3 - 서술형 평가 (Git and GitHub Collaboration)## PH2024-08-09 : First posting.## TOC## git reset의 3가지 옵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soft--soft 옵션은 HEAD만을 변경합니다. 이는 HEAD가 가리키는 커밋을 변경하지만, staging area와 working directory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커밋을 취소하고, 해당 파일들을 다시 커밋하기 전 상태(스테이징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reset 명령을 실행한 후에 바로 다른 커밋을 만들 수 있습니다.--mixed--mixed 옵션은 HEAD와 staging area를 변경하지만, working dire..

[IT|Programming] 2024.08.09

week2 위클리 페이퍼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 week2 위클리 페이퍼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PH2024-08-05 : First posting.## TOC##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할까?브라우저는 보통 사람들 (Clients) 이 domain name 을 통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 할 때, DNS (Domain Name System) 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 주소 (IP: Internet Protocol) 로 GET Request 를 보내서 페이지를 다운 받아 사용자에게 HTML 을 Parsing/Rendering 하여 보여주게 된다.이 때 웹 페이지 내에 img tag 나 script tag, link tag 등이 있으면 해당 tag 의 src 로 GET Request 를 또 보내 데이터들을 다운로드 받아 적절하게 표현해주게..

Git 협업하기 (Collaboration with Git and GitHub)

# Git 협업하기 (Collaboration with Git and GitHub)## PH2024-08-01 : First posting.## TOC## GitHub 로 협업을 한다는 것### 커밋 (commit)커밋은 작업 내용의 '스냅샷'을 의미하며, 한번 커밋하면 이력이 남습니다. 이런 특성 덕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상태로 쉽게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커밋은 Git에서 관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브랜치 (branch)Git 의 브랜치는 독립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개별적인 흐름을 의미합니다. 브랜치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작업을 별도로 진행하고 나중에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병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개발자가 동시..

[IT|Programming] 2024.08.01

Unix/Linux command (CLI: Command Line Interface)

# Unix/Linux command (CLI: Command Line Interface)이걸 꼭 공부해야만 하나 하는 의구심이 들긴한다... 요새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가 워낙 잘 되어 있어서...하지만 GUI 를 만드는데 비용이 많이들다보니, 더 정확한 명령, 간단한 구현을 원하는 개발자 입장에선 CLI 가 꼭 필요하긴 한듯. 특히나 개발 초기의 것들은 GUI 까지 만들어지려면 한 세월일거라...## PH2024-07-30 : First posting.## TOC## Simple commands```date // 현재 날짜 출력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디렉토리 출력)cal // Calendar (달력)cal 9 2024cal 20..

[IT|Programming]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