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logPrint() is working!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512;
m.wait=1024;
wait 1513ms.
Doing delayed-load. : 8
Kakao.isInitialized()=true;
MathJax.js (mathjax@3/es5/tex-mml-chtml.min.js) is loaded.
Google code prettyfy.js is loaded.
docuK scripts are all done. Then this log is closing in 1.0 sec.
wait 1051ms.
wait 1049ms.
<eq> and <eqq> tags are rendered to MathJax format, being enclosed by \ ( \ ) and \ [ \ ].
docuK1 scripts started!
If this log is not closed automatically, there must be an error somewhere in your document or scripts.
Table of Contents is filled out.
Auto numberings of sections (div.sec>h2, div.subsec>h3, div.subsubsec>h4), <eqq> tags, and <figure> tags are done.
<cite> and <refer> tags are rendered to show bubble reference.
<codeprint> tags are printed to corresponding <pre> tags, only when the tags exist in the document.
Current styles (dark/bright mode, font-family, font-size, line-height) are shown.
disqus.js with id="disqus-js" is loaded.
kakao.js with id="kakao-js-sdk" is loaded.
New ShortKeys (T: Table of Contents, F: Forward Section, D: Previous Section, L: To 전체목록/[Lists]) are set.
m.delayPad=512;
m.wait=1024;
wait 1513ms.
Doing delayed-load. : 8
Kakao.isInitialized()=true;
MathJax.js (mathjax@3/es5/tex-mml-chtml.min.js) is loaded.
Google code prettyfy.js is loaded.
docuK scripts are all done. Then this log is closing in 1.0 sec.
wait 1051ms.
wait 1049ms.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ㅂ=ㅋ. (If this article was helpful, please click the ad once. Thank you. ;)
Mode: Bright; Font: Noto Sans KR; font-size: 18.0px (10.0); line-height: 1.6;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3.1.1
Canonical URI: https://kipid.tistory.com/entry/지구-기후정보-기온-바람-해류-관련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161
document.referrer: Empty
width: 1280, height: 720, version: 3.1.1
Canonical URI: https://kipid.tistory.com/entry/지구-기후정보-기온-바람-해류-관련
dg:plink (Document Global Permanent Link): https://kipid.tistory.com/161
document.referrer: Empty







지구 기후/기상 정보 (기온, 바람, 해류) 관련 - 바람/온도 지도, 강수량 지도
지구 기후/기상 정보를 그래픽적으로 잘 보여주는 사이트
[01]
[02]
가 있어서 정리중.폰에서 아래로 스크롤 할 때는 오른편에 넣어놓은 border 를 이용해 드래그 해주세요.
Table of Contents
PH1.Posting History
1.날씨와 기후의 정확한 차이점은 무엇일까?! [기후변화 1/2]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오상진 박사)
2.기후위기의 범인을 검거한 위대한 방법?! [기후변화 2/2]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오상진 박사)
3.위성 사진 (구름 사진) 및 초단기 강수량 예측
4.안산시 단원구 호수동 날씨 예보
5.현재 / 지표면 바람 (흐름) / 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6.현재 / 500hPa 부분 (~대략 6km 높이) 바람 (흐름) / 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7.현재 / 해류 (흐름) / 바다 표면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RRA1.References and Related Articles
T1.날씨와 기후의 정확한 차이점은 무엇일까?! [기후변화 1/2]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오상진 박사)
▼ Show/Hide
기상/날씨 vs 기후: 특정 시간, 특정 날짜의 온도/습도/강수량 등을 나타내는게 기상/날씨 이고 기후는 장기적으로 (30년 정도) 온도/기온/강수량의 평균을 내어 보는 것 .
▲ Hide
T3.위성 사진 (구름 사진) 및 초단기 강수량 예측
▼ Show/Hide
아래는 위성 사진 (구름 사진), 초단기 강수량 예측
[10]
.강수예측(+수치)를 보시려면, 메뉴 - 레이더 - 강수예측(+수치) 를 체크하시고 재생바를 누르세요.
아래 날씨 예보가 로딩 되는것 방지용 빈칸.
▲ Hide
T5.현재 / 지표면 바람 (흐름) / 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 Show/Hide
Current / Surface wind (flow) / Temperature (color) / Orthographic (mapping)
Current / temp
[02]
. 같은 데이터를 쓰는거 같긴한데, UI/UX 가 좀 다른듯? 편한데로 보시길. 온도 mapping bar 가 있어서 정확한 온도 보기에는 여기가 좋은듯도.▲ Hide
T6.현재 / 500hPa 부분 (~대략 6km 높이) 바람 (흐름) / 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 Show/Hide
편서풍 부는 높이. 일반적인 민간 항공기는 대략 6~13km 정도에서 나는걸로
[06]
. 구름도 대충 0~13km 에서 분포한다 함 Ref. [06] [항공 지식] 민항기는 몇 m에서 비행할까? - 운항고도
[05]
.Ref. [05] Wiki - 구름
Current / 500hPa (~6km height) wind (flow) / Temperature (color) / Orthographic (mapping)
$PV=Nk_BT$ 랑 힘 평형 이용하면 (+높이변화가 지구반지름에 비해 크지 않을거기 때문에 높이에 따른 중력 변화는 적당히 무시 +온도변화도 거의 없다고 가정),
(6-1)
\[ P(h) = P_0 \exp \Big( - \frac{mg}{k_BT} h \Big) \]
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음. 여기다가 공기입자 분자당 평균질량 $m=4.82 \times 10^{-26} kg/each$ ($=29g/mol$)
[04]
, 지구 중력가속도 $g=9.8 m/s^2$, 볼츠만 상수 $k_B = 1.38 \times 10^{-23} J/K$, 대충의 온도 $T=300K$ ($=27°C$) 를 넣으면,Ref. [04] Wiki - 공기
(6-2)
\[ P(h) = P_0 \exp \Big( - 0.114 h [km] \Big) \]
이 나옴. 이 공식은 높이 6.08km 마다 기압이 1/2 로 떨어진다는 걸 뜻함. 대충 대기압이 1000hPa 이니, 500hPa$\approx$6km, 250hPa$\approx$12km, 70hPa$\approx$23km, 10hPa$\approx$40km 정도를 뜻함. 공식 자체가 여러가지 단순화를 시켜놓은거기 때문에 대충만 정확하다는걸 고려하긴 해야.
Fig. (6-1): 고도에 따른 온도와 기압변화
[06]
Ref. [06] [항공 지식] 민항기는 몇 m에서 비행할까? - 운항고도
▲ Hide
T7.현재 / 해류 (흐름) / 바다 표면온도 (색) / 정서법 (지도형태) 로 봤을때.
▼ Show/Hide
Current / Ocean (flow) / Sea Surface Temperature (color) / Orthographic (mapping)
▲ Hide
TRRA1.References and Related Articles
▼ Show/Hide
- Ref. [01] http://earth.nullschool.net/#current/wind/surface/level/overlay=temp/orthographic=-232.58,30.10,292
- Ref. [02] https://www.windyty.com/?temp,37.614,127.002,4
- Ref. [03] Wiki - 기후 변화
- Ref. [04] Wiki - 공기
- Ref. [05] Wiki - 구름
- Ref. [06] [항공 지식] 민항기는 몇 m에서 비행할까? - 운항고도
- Ref. [07] kipid's blog - SI, cgs 단위계(unit) 및 물리상수(physical constants)
- Ref. [08] 안될과학 Unrealscience :: 날씨와 기후의 정확한 차이점은 무엇일까?! [기후변화 1/2]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오상진 박사)
- Ref. [09] 안될과학 Unrealscience :: 기후위기의 범인을 검거한 위대한 방법?! [기후변화 2/2]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오상진 박사)
- Ref. [10] https://www.weather.go.kr/wgis-nuri/html/map.html
- Ref. [11] https://www.weather.go.kr/w/index.do#dong/4127353500/37.303431/126.8357822/경기도 안산시단원구 호수동/LOC/위경도(37.30,126.84)
▲ Hide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ㅂ=ㅋ. (If this article was helpful, please click the ad once. Thank you. ;)
반응형
'[Physics/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력하의 두 점 사이를 가장 빨리 이동하는 방법 (싸이클로이드) (1) | 2023.10.26 |
---|---|
What should I do for living forever? (Feat. OpenAI ChatGPT) (0) | 2023.03.08 |
건강하게 과학적으로 다이어트 하기 (0) | 2022.12.10 |
전기보일러 비교분석 및 구입 (0) | 2019.08.15 |